[DIGGING DIARY] Vivienne Westwood 03

Beginning of the Punk Saga
Words by Sora Kim


I don’t exactly remember the moment I heard the news of her passing.

But I can clearly recall how shocking it was. The year 2022 was filled with both great achievements and global disasters. And amidst it all, this particular news made me even more curious about her life.


Did you know that her birth name was Vivienne Swire, not Westwood? She took on the name Westwood when she married, and interestingly, she chose to keep it even after her divorce. Later, she met Malcolm McLaren, and together they became fully immersed in Rock ’n’ Roll, making garments. That was the the great first step of this Punk Saga.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본래 이름은 비비안 스와이어(Vivienne Swire)이다. 하지만 첫 남편과의 이혼 후에도 그의 성을 버리지 않고 사용하여 그 유명한 지금의 ‘비비안 웨스트우드’가 되었다. 이후 로큰롤에 심취한 말콤 맥라렌(Malcom McLaren)을 만난 비비안 웨스트우드는 그와 함께 본격적으로 옷을 만들기 시작했다. 패션 하우스 비비안 웨스트우드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셈.

Vivienne and Malcolm began selling their own apparel on King's Road 430, at the corner of Mr. Freedom, until 1970. But a year later, they took over and completely renovated the store, turning it into their very own fashion house. They named it ‘Too Fast to Live, Too Young to Die’. The name of the store kept changing—Let It Rock, SEX, and Seditionaries, to name a few—reflecting the themes of their collections. They even transformed the store’s interior and exterior!

비비안과 맥라렌은 1970년까지 킹스로드 430번지에 위치한 ‘미스터 프리덤(Mr. Freedom)’의 한 켠에서 옷을 만들고 판매했다. 이듬해, 미스터 프리덤을 전부 인수받은 비비안 웨스트우드와 말콤 맥라렌은 그들만의 패션 하우스를 설립한다. 대부분의 패션 하우스는 디자이너의 이름으로 부티크와 브랜드 이름까지 통일하기 마련. 그러나 비비안은 남들과 달랐다. ‘LET IT ROCK’, ‘too fast to live, too young too die’, ‘SEX’, ‘Seditionaries’ 등 마치 컬렉션의 이름을 짓듯 새로운 옷을 발표할 때마다 가게의 이름을 바꿨으며, 그와 동시에 매장의 내, 외부 인테리어까지 전부 새로 다듬으며 한계를 허물고 스스로를 표현했던 것이다.

“Rubberwear for the Office.” This slogan made a fuss in London. On the other hand, the younger generation was enthralled, seeing Vivienne and McLaren featured in various media outlets. Vivienne Westwood’s short, spiky hair became wildly popular, redefining trends of the time. Their daily life was covered by numerous newspapers as genuine influencer of their era! In a documentary, Vivienne mentioned that all this attention served as an incredible marketing opportunity. Before long, they became the stylists for the band ‘Sex Pistols’, taking their first major steps in shaping the foundation of punk fashion.

하지만 런던은 이를 호락호락하게 인정하지 않았다. “사무실에서 고무 옷을 입자”는 슬로건과 실제 라텍스를 소재 삼은 패션이 당시의 사회적 관념으로는 쉽게 납득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언론의 도마 위에 오른 그들에게 당대 청년들은 열렬한 지지와 환호성을 보냈다. 특히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고슴도치 머리가 유행을 선도했으며, 각종 신문에서 비비안과 말콤의 행동을 보도했다. 비비안은 한 다큐멘터리에서 “이것을 마케팅의 기회로 삼았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패션에 대한 열정과 반항 정신, 말콤 맥라렌의 음악과 예술에 대한 폭넓은 관심과 인맥을 통해 그들은 밴드 섹스 피스톨즈(Sex Pistols)의 스타일링까지 담당하게 되었고, 이로써 두 사람은 본격적인 펑크 패션의 문법을 만들어가기 시작한다.

Sexual fetishes like bondage, symbols of fascism, and criminal straitjackets—Vivienne Westwood incorporated these rebellious elements into her apparel. Expressing defiance against the older generation, her garments embodied a spirit of resistance, communicated distinctly through visuals. She even repurposed the check pattern, originally a symbol of English tradition, transforming it into an emblem of punk and her own identity.

비비안 웨스트우드는 성적 페티시를 암시하는 본디지, 나치 문양, 죄수나 정신 병동의 구속복 등 반항적인 요소들을 옷에 적극적으로 차용했다. 기성세대에 대한 반발을 가감 없이 드러내며 펑크의 저항 정신을 시각적으로 보여준 것. 더불어 영국의 전통 의상에서 영감을 받은 체크 패턴은 브랜드 비비안 웨스트우드는 물론, 펑크 패션의 상징으로 자리 잡기에 이르렀다.